육아를 하다 보면 아주 잠깐만 한눈을 팔아도 어디선가 울음을 터뜨리며 나타나는 아기들 때문에 당황스럽고 혼미해지는 경우가 일쑤인데요. 툭하면 바닥에서 넘어지고, 소파, 침대에서 떨어지는 아기들 때문에많이들 힘드실 거라 예상됩니다. 오늘은 아기 이마 멍이 생기면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멍이라는 것은,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피부 아래에 있던 모세 혈관이 큰 자극을 받아 터지면서 새어 나오는 피가 뭉쳐져 생겨나는 흔적을 말하는데요. 아기들은 성인들에 비해 매우 얇은 피부조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쉽게 멍이 들곤 한답니다.
아기 이마 멍이 드는 건 대부분 머리를 딱딱한 어딘가에 심하게 부딪혔을 경우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가장 먼저 뇌에 손상이 있진 않은지 확인을 해주셔야 해요.
지금 아기 이마에 큰 멍이 들어있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해당되진 않는지 살펴보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 아이 멍들었을 때 체크할 점
● 아기의 눈동자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
동공의 크기가 다르거나 초점이 나가있진 않은지,동공이 풀려 어딘가를 멍하게 쳐다보진 않는지 확인해 주세요.
● 수면패턴이나 의식에 변화
아기가 평소보다 둔한 반응을 보이진 않는지, 평소에 비해 심각한 수준으로 졸음에 시달리진 않는지 확인해 주세요.
● 걸음걸이가 이상하거나 휘청거리진 않는지.
아기의 걸음이 자꾸만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거나 휘청이진 않는지,평소에 비해 말을 급격히 어눌하게 하진 않는지 확인해 주세요.
● 구토를 하거나 경련
● 아기가 10분 이상 울음을 그치지 않는지
● 멍이 생겨난 몇 시간 이후에도 계속해서 칭얼대거나 보채진 않는지
위에서 알려드린 여섯 가지 항목을 체크해보시고, 만일 여러가지의 항목이 체크될 경우 바로 응급실을 찾아 주시는 것이 좋아요.
특히 구토를 하거나 경련을 할 경우엔, 다른 항목이 체크되지 않더라도 병원을 찾아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증상 없이 멍이 생겨났을 경우엔, 멍이나 멍으로 인해 생겨난 혹이 빨리 빠질 수 있도록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해주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 응급조치 방법
먼저 차가운 물수건이나 얼음주머니를 천으로 감싼 뒤, 멍 주변에 가져다 대며 냉찜질을 시켜 주세요. 이때 냉찜질은 오랜 시간 해주실 필요 없이 약 10분에서 15분의 짧은 시간 동안만 찜질을 시켜 주시면 돼요. 만일 아기가 너무 차가운 온도에 무서움을 느끼고 울음을 터뜨린다면 5분씩 나누어서 해주셔도 좋아요.
하루에도 이틀 정도 냉찜질을 해줬는데도 멍이 잘 풀리지 않는 것 같다면따뜻한 물에 적신 수건을 짜 멍에 올려주며
온찜질을 해주시면 되는데요.
뜨거운 온도는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으니 체온보다 살짝 더 높은 40도 정도를 유지해 주시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만 해준다면 아기 이마 멍과 붓기가 훨씬 더 빠르게 가라앉아 갈 거랍니다.
혹은 아기가 사용해도 되는 멍크림을 가볍게 발라 주시는 것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답니다.
오늘은 아기 이마 멍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았는데요. 성인에게 생기는 멍과 달리 아기 이마 멍은 생각보다 더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어요.
제가 알려드린 징조를 잘 살펴보신 뒤 해당되는 부분이 있다면 꼭 병원을 찾아 주세요. 순간의 병원비를 아끼고자 하는 마음 때문에 더 크게 후회하게 될 수도 있으니까요.
◆ 함께 보면 좋은글
아기 머리 혹 났을 때 대처법
아이를 키우면서 한 번쯤은 겪게 될 아이의 부상 증상 중 하나인 '아기 머리 혹 '입니다! 아기는 돌즈음 걷거나 뛰어놀게 되면서 중심을 쉽게 잃기 때문에 곧잘 넘어지는데요. 이 상황에서 아
good-luck81.com
신생아 코골이 원인 예방정리
아기를 키우게 되면 걱정이 되는 상황이 참 많아요. 평상시에는 안 그랬던 것 같은데, 다른 행동이 보이게 되면 더 많은 걱정을 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신생아 코골이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
good-luck81.com
'육아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서는 시기 언제 주의사항 정리 (1) | 2025.03.13 |
---|---|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신청방법 지원 대상 정리 (0) | 2025.03.12 |
2025년 경기도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지원금 (0) | 2025.03.09 |
태아 딸꾹질 자주 느낌 위치 횟수 시간 원인 간격 정리 (0) | 2025.03.08 |
유치원 어린이집 유아학비 복지로 사전신청 방법 (0) | 2025.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