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게 되면 궁금한 점도 많고, 걱정스러운 점이 많아요. 내 아이는 늦는 것 같기도 한데요. 오늘은 아기 서는 시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아기마다 약간의 개인차는 있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평균적으로 생후 9개월 (혹은 8개월)에서 12개월 사이서부터 무언가를 잡고 서게 되는 능력을 기르게 되는데요.
생후 2~4개월에 접어들면서 목을 가누는 능력이 점차 발달하게 되고, 스스로 머리를 들 수 있게 되다가, 약 3개월 쯤이 지나면서부터는 머리를 안정적으로 가눌 수 있게 된답니다.
그렇게 목을 가눌 수 있게 되면 6개월에서 9개월 사이부터는 몸을 자유롭게 뒤집을 수 있게 되어 배밀이를 시작하게 되는데요.
배밀이란 아기가 근력과 균형감각의 능력을 키워갈 수 있게끔 도움을 주는 아주 중요한 운동으로, 나중에 아기가 걷거나 서게 될 때 역시 큰 기초가 되곤 합니다.
이 시기가 지나면 아기는 드디어 스스로 앉을 수 있게 되고, 팔과 다리로 바닥을 길 수 있게 됩니다. 이 과정까지도 모두 거치고 나게 되면, 아기가 슬슬 테이블이나 침대 같은 주변 가구를 잡고 의지하여 서려는 시도를 하게 되지요. 이 시기에 접어들면 아기는 균형을 잡는 법을 배우기 시작하며선 상태에서도 중심을 잡을 수 있게끔 균형 감각을 연습하게 된답니다.
▶ 0~3개월: 목과 머리를 다루는 과정
▶ 3~6개월: 엎드려 기거나 배밀이를 하는 과정
▶ 6~9개월: 기어 다니거나 앉게 되는 과정
▶ 9개월~12개월: 잡고 서게 되는 과정
▶ 12개월~14개월: 독립적으로 서게 되는 과정
아기가 잡고 일어서는 시기에는 당연히 어느 정도 보호자의 손길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기가 무언가를 잡고 일어서려 할 때, 아기가 잡는 그 무언가가 단단하지 않거나 힘이 없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끌려가버린다면, 아기가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생길 뿐 아니라 잡고 서는 행위 자체에도 불안감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엔 아기가 잡고 일어서도 끄떡없을 만한 단단한 곳을 아기에게 가르쳐 주고, 아기가 그곳을 잡을 수 있게끔 유도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기가 균형을 잡는 법을 배워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수시로 힘을 잃고 넘어지거나 휘청거릴 수 있는데요. 항상 아기를 곁에서 지켜봐 주시고, 아기가 다치지 않을 만큼 올바르고 안전하게 넘어질 수 있게끔제대로 된 '넘어지는 방법'을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만일 아기가 넘어지더라도 크게 놀라는 반응을 보이지 마시고, 그럴 수 있다는 듯 지켜보며 부드럽게 일으켜 주곤아기를 긍정적으로 격려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자주 일어서는 모습을 아기에게 직접 보여주게 된다면,아기가 이러한 모습들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게 되니 이러한 점도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거나 위험한 물건들은 치우고, 미끄럽지 않고 푹신한 형태의 매트를 깔아 주세요.이렇게만 해주신다면 아기가 서는 방법을 순탄하게 배워나갈 수 있을 거랍니다.
◆ 주의사항
● 단단한 곳을 잡을 수 있게끔 유도해 준다.
● 올바르게 넘어지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 일어서는 모습을 일상에서 자주 보여 준다.
● 날카롭거나, 흔들리고, 지탱이 어려운 물건들은 치운다.
● 푹신하고 미끄럽지 않은 매트를 깔아 준다.
● 아기가 넘어져도 놀라지 말고 격려해 준다.
오늘은 아기 서는 시기까지의 과정과 부모로서 도와줄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았는데요. 아기 서는 시기가 보통의 아기들보다 조금 늦게 시작되더라도, 이는 아기들 간의 발달 속도에 조금씩 차이가 있어 그런 것이니 너무 불안해하진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글
아기 유아 자폐스펙트럼 증상 원인 치료 방법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아동기 초기부터 나타나는 복합적인 신경발달 장애로,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능력, 그리고 행동 패턴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조기 발견이
good-luck81.com
신생아 성장급등기 원더윅스 개념 기간 증상 정리
저는 저희 딸을 키울 때 힘든 순간들이 참 많았는데요. 그중에 성장 급등기 때는 정말 힘들었어요. 오늘은 신생아 성장급등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성장급등기 성장급등기는 신체
good-luck81.com
'육아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이마 멍 빠른 대처법 (0) | 2025.03.15 |
---|---|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신청방법 지원 대상 정리 (0) | 2025.03.12 |
2025년 경기도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지원금 (0) | 2025.03.09 |
태아 딸꾹질 자주 느낌 위치 횟수 시간 원인 간격 정리 (0) | 2025.03.08 |
유치원 어린이집 유아학비 복지로 사전신청 방법 (0) | 2025.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