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를 키우다 보면 다른 강아지나 사람, 장난감, 쿠션 등 강아지 마운팅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어요. 마운팅(Mounting)은 강아지가 앞발을 이용하여 다른 대상 위로 올라타는 행동으로 흔히 교배와 관련되는 행동으로 하여 당황 스러 울 수밖에 없거든요. 오늘은 수컷 강아지 마운팅 행동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마운팅
강아지가 뒤쪽 발을 이용해 다른 개나 물건(쿠션, 인형) 등에 올라타는 행동을 말합니다. 흔히 수컷이 많이 한다고 알려졌지만, 암컷 강아지도 하는 경우가 있어요. 보호자나 아이 다리에 시도하는 모습을 보고 “이게… 무슨 상황이지?” 하고 당황하는 분들 많죠. 암컷 강아지도 마운팅 합니다! 마킹도 한답니다. 일명 붕가붕가로 불리는 마운팅 행동은 성행위를 하는 듯한 모습이지만, 이 행동 모두가 성적 의미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에요.
◆ 새끼 강아지 마운팅 하는 의미
2~3개월 새끼 강아지들이 인형 등에 강아지 마운팅을 하는 모습을 보고, 보호자들은 벌써 성적 욕구가 생겼나?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새끼 강아지들이 마운팅을 하는 이유는 놀이로 생각하거나 서열 정리를 위한 행동입니다.
성욕보다는 장난, 스트레스 해소 등의 의미로 보호자의 손이나 발에, 인형에 하게 되는데 이때 무조건 혼내는 것은 안 좋습니다. 보호자의 손 발에 하는 경우 바디블로깅을 해주면서 단호하게 안돼! 하지 마! 등의 거절의 의사를 표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수컷 강아지 마운팅 행동의미
강아지 마운팅은 수컷뿐만 아니라 암컷 강아지들이 하는 모습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행동이므로 무조건적으로 혼내는 것은 좋지 않아요.
● 성욕
반려견 역시나 성적 욕구가 있으며, 성욕을 해소하기 위하여 강아지 마운팅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중성화가 제때 되지 않거나 하지 않은 아이들의 경우 중성화를 어릴 대한 아이들보다 강아지 마킹이나 마운팅 행동이 심할 수 있습니다. 성욕에 대한 마운팅 행동은 중성화 시기를 놓친 아이들에게 심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애착 인형을 하나 만들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보호자에게만 하면 다행이지만 수컷의 경우 다른 강아지들에게 하게 되는 경우 다른 강아지들이 공격의 의미나 서열정리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싸움이 날 수 있고, 특히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에게 시도를 하다가 발정 후인 경우 임신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 서열정리
강아지 마운팅은 상대방을 제압하고, 위로 올라탐으로써 자신이 서열 위라는 것을 보이기 위한 강아지 행동의미 중 하나입니다.
계속 다른 강아지 위에 올라타는 강아지를 보면 기분이 나빠지게 되는데, 마운팅이 심한 반려견을 키운다면 보호자가 조금 더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스 해소, 놀이
성견 역시나 놀이 혹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마운팅을 하기도 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스트레스 해소를 하기 위해 하기도 하고, 장난처럼 마운팅을 즐기는 강아지 산책 시간이 부족하여 붕가붕가를 할 수도 있는데요. 놀이시간 부족으로 인해 잦은 마운팅을 하는 친구들은 노즈워크, 산책시간 늘리기 등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견이 다른 반려견이나 다른 사람에게 마운팅 행동을 한다면 보호자는 반려견을 제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대방 보호자도 싫어하고, 상대방 강아지에게도 불쾌한 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호자나 인형에 하는 경우에는 할 때 막지 않는 것이 좋아요. 붕가붕가를 못하게 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적당히 즐기도록 하는 것이 좋답니다.
◆ 교정할 수 있는 방법
● 중성화 수술 고려
성적 욕구가 주된 원인이라면, 중성화가 빈도를 줄이는 데 도움 될 수 있어요. 단, 중성화 후에도 습관적 행위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행동 교정 병행이 좋습니다.
● 즉시 중단·무시
강아지가 사람 다리를 타거나 인형 등에 행위를 시도할 때, “안 돼!” 혹은 “노!”라고 말하고, 즉시 관심 끊기 기법이 효과적일 수 있어요. “이 행동을 하면 놀이가 끝나는구나, 관심을 못 받는구나”라는 인식을 심어주세요.
● 주의 돌리기 (대체 행동 유도)
무는 행동 교정과 유사하게, 시도하는 순간에 즉시 장난감이나 간식으로 다른 데 신경 쓰게 해주고, 올바른 행동(앉아, 기다려 등)을 하면 칭찬해 주세요. “이 행동보다 이걸 하면 좋구나”라고 학습시키는 식입니다.
● 에너지 발산
행동이 과도하다면 운동·놀이가 부족할 가능성이 큽니다. 충분히 산책, 공놀이, 퍼즐토이 등으로 에너지를 소모시키면 사라지기도 해요. 특히 활동량이 많은 견종은 더욱 세심한 놀이 시간이 필요합니다.
● 스트레스 제거
환경 변화, 소음, 낯선 동물 등으로 긴장이 크면 빈도가 늘 수 있어요.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 안정감 있는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 심각한 경우 수의사 상담 후 진정제나 행동교정 전문가 도움을 받을 수도 있어요.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카밍시그널 기지개 피는 행동의미 (0) | 2025.03.29 |
---|---|
국제 강아지의 날 행사일정 (1) | 2025.03.16 |
반려동물 등록 강아지 마이크로칩 내장칩 외장칩 가격 (0) | 2024.07.17 |
고양이 강아지바나나 먹어도되나요 급여시 주의점 (0) | 2024.07.04 |
강아지 기저귀 매너벨트 마킹 (0) | 2024.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