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이 분명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차이, 예문, 암기법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참고하세요.

1. ‘왠지’의 뜻과 쓰임
왠지
는 왜인지
의 준말입니다.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지만 어떤 느낌이나 생각이 들 때 사용합니다.
구분 | 형태 | 의미 |
---|---|---|
원형 | 왜인지 |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어떤 느낌·생각이 듦 |
줄임말 | 왠지 | 구어·일상문에서 빈번히 사용 |
예문
- 왠지 기분이 좋다. → 이유는 모르지만 기분이 좋다.
- 왠지 오늘은 일이 잘 풀릴 것 같다. → 막연한 좋은 예감이 든다.
- 왠지 그 사람이 생각난다. → 특별한 이유 없이 떠오른다.
왜인지
를 넣어도 자연스럽다면 왠지
가 맞습니다.2. ‘웬지’의 뜻과 쓰임
웬지
는 형태상 웬
+지
로 분석되지만, 실제 쓰임은 매우 드뭅니다. 여기서 웬
은 관형사로 “어찌 된, 어떤”의 뜻을 나타냅니다.
관련 표현에서의 ‘웬’
- 웬일로 이렇게 일찍 왔어? → 어찌 된 일로 이렇게 일찍 왔어?
- 웬 사람인지 모르겠다. → 어떤 사람인지 모르겠다.
웬지
를 쓰는 것은 대부분 잘못입니다. 느낌·예감은 왠지
로 써야 합니다.3. 핵심 정리 표
구분 | 올바른 표현 | 잘못된 표현 | 의미/용법 |
---|---|---|---|
느낌·예감·막연한 감정 | 왠지 | 웬지 | 왜인지 모르게 어떤 기분이나 생각이 듦 |
의문·놀람을 동반한 상황 | 웬 (웬일, 웬 사람) | 왠 | 어찌 된, 어떤 |
4. 기억하는 법
왠지 = 왜인지 / 웬 = 어찌 된
따라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는 느낌이면 왠지
, 놀람이나 의문을 드러내면 웬
을 씁니다.
빠른 점검
- (O) 왠지 눈물이 난다. → 왜인지 눈물이 난다.
- (X) 웬지 눈물이 난다. → 느낌 표현이므로 ‘왠지’가 맞음.
- (O) 웬일이야, 이렇게 일찍 오다니. → 어찌 된 일이야.
- (X) 왠일이야 → ‘웬일’이 표준.
5. 자주 틀리는 이유
- 발음 유사성: 두 형태의 소리가 비슷해 글자로 옮길 때 혼동이 잦습니다.
- 형태 공존: 실제로
왠
,웬
모두 존재해 시각적 혼동을 유발합니다. 예: 많은 사람들이 “왠일”로 쓰지만 표기는 “웬일”이 맞습니다. - 사용 빈도 편향:
왠지
의 높은 사용 빈도가 비슷한 형태의웬지
를 자연스럽게 보이게 만듭니다.
6. 예문으로 익히기
문장 | 맞춤법 | 해석/설명 |
---|---|---|
왠지 오늘은 기분이 좋아. | O | 왜인지 모르게 기분이 좋다. |
웬지 오늘은 기분이 좋아. | X | 느낌 표현이므로 ‘왠지’가 맞음. |
웬일이야, 이렇게 일찍 와서. | O | 어찌 된 일이야. |
왠일이야, 이렇게 일찍 와서. | X | ‘웬일’이 표준. |
7. 문장 활용 팁
왠지
는 일상 대화, 블로그 글 등 비격식 문체에서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격식 있는 문서에서는 왜인지
로 쓰면 더 무난합니다.
- 블로그/에세이: 왠지 오늘은 좋은 하루가 될 것 같다.
- 보고서/공문: 왜인지 오늘은 업무 집중이 잘 되지 않았다.
8. 정리하며
왠지
와 웬지
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와 품사가 다릅니다. 느낌·예감은 왠지, 의문·놀람이 담긴 상황 표지는 웬(웬일, 웬 사람)입니다.
다음 두 문장을 기억해 두면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왠지 오늘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아. → 왜인지 모르게 좋은 예감이 든다.
- 웬일이야, 이렇게 일찍 오다니! → 어찌 된 일이야.
‘왠지’와 ‘웬지’는 국어 맞춤법 검색어 중에서도 상위권에 오르는 단어입니다. 발음이 비슷해도 문맥의 의미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왜인지’로 바꿔 쓸 수 있으면 왠지, ‘어찌 된’으로 바꿔 쓸 수 있으면 웬으로 기억하세요.
‘베개 vs 배게’ 헷갈리는 단어 맞춤법 정리
오늘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 ‘베개 vs 배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헷갈리는 모음 'ㅐ'와 'ㅔ', 왜 자꾸 틀릴까?모음 ‘ㅐ’와 ‘ㅔ’는 발음이 유사하여 맞춤법 실
good-luck81.com
체하다 vs 채하다 완벽 구분법 올바른 맞춤법 사용 가이드
‘체하다’와 ‘채하다’는 소리만 들어서는 헷갈리기 쉽지만, 의미와 용법이 전혀 다릅니다. ‘체하다(體)’는 ‘~인 척하다’ 또는 ‘속이 더부룩하다’를 뜻하고, ‘채(態)’는 ‘이미 있는
good-luck81.com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서 vs 로써, 수밖에 vs 수 밖에 — 헷갈리는 맞춤법 완전정리 (0) | 2025.10.22 |
---|---|
2026년 띠별 운세 총정리 재물운·직장운·연애운·건강운 (병오년) (0) | 2025.10.16 |
2026년 띠 운세 총정리 – 붉은 말의 해 병오년의 기운 (0) | 2025.10.13 |
KTX 입석 및 자유석 개념 정리, 매진일 때 예매하는 꿀팁까지 (0) | 2025.07.09 |
비행기 탑승 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총정리 (0) | 2025.06.27 |
댓글